[2025국감]치매환자 실종은 쏟아져도 감지기는 턱없이 부족...보급률 제고해야

  • 등록 2025.10.24 16:56:34
크게보기

서미화 의원, 복지부.건보공단을 통해 배회감지기 대여 이뤄지고 있으나 전체 환자의 5.5% 수준

[뉴시니어 = 조성윤 기자] 65 세 이상 인구 증가에 따른 추정 치매환자 수가 지속적으로 늘어나면서 , 치매환자에 대한 실종신고와 경보문자 발송 건수도 함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실종사건 발생시 , 신속한 대응을 위해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배회감지기를 대여 · 지급하고 있으나 , 보급률이 전체 환자 수에 비해 현격히 낮아 보급률을 올리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

 
서미화 국회의원 이 보건복지부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 65 세 이상 인구수와 함께 추정 치매환자 수도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2020 년 74.6 만명 수준이였던 추정 치매환자 수는 2024 년 91 만으로 5 년만에 약 22% 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환자 증가와 함께 , 실종신고와 경보문자 건수도 꾸준히 늘었다 . 2020 년 12,272 건이던 실종 신고 건수는 2024 년 15,502 건으로 26.3% 증가했고 치매 실종자를 찾기 위한 경보 문자도 2022 년 1,139 건에서 2024 년 1,794 건으로 3 년만에 57%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치매환자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배회감지기를 대여.지급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기업의 사회공헌을 통해 2021 년 이후 9,894 대를 무료지급하였고 , 건보공단은 2016 년 이후 신청자에 한하여 40,611 개의 배회감지기를 대여했다 . 하지만 다 합하여도 5 만여개로 , 추정 치매환자 수에 5.5% 수준에 불과하다 .

 
현재 보건복지부는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된 치매환자가 배회감지기 지급을 희망할 때 , 감지기를 지급해주고 있다 . 하지만 , 2025 년 기준 전국 치매안심센터의 환자 등록률은 43% 에서 100% 까지 지역별 편차가 크고 , 센터가 신청하는 배회감지기 숫자에 비해 , 보급되는 배회감지기는 5,000 개 이상이나 부족하다.


서미화 의원은 “ 고령화의 가속도로 인해 치매환자가 무섭게 늘고 있고 , 이 속도는 점점 더 빨라질 수 밖에 없을 것 ” 이라며 , “ 치매환자의 실종신고는 경찰의 출동 등 행정력 과중으로도 이어지는 바 , 초기대응을 통한 행정력 최소화를 시키기 위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 ” 이라고 말했다 .

 

 

 

 

 

 

조성윤 기자 7436064@hanmail.net
ⓒ 2014 nsenior All rights reserved.



(주)뉴온미디어 | 발행인/편집인 : 황리현 | 등록번호 : 서울 아 03154 등록일자 : 2014.05.14 서울본사 : 서울시 영등포구 양평동4가 280-8(선유로 274) 3층 TEL. 02-2671-0203 FAX. 02-2671-0244 ⓒ 2014 munhwatoday.com. All rights reserved. 이 사이트는 개인정보 수집을 하지 않습니다. 뉴시니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