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롯데그룹에 '마지막 경고'

  • 등록 2015.01.05 18:00:11
크게보기

"제2롯데월드 안전사고 재발시 건물 전체 사용제한"



서울시가 잦은 사건.사고가 끊이지 않는 서울 송파구 잠실 제2롯데월드와 관련해 롯데그룹 차원의 대응체계 마련을 촉구하며 안전사고 재발시 구조적 안전성과 무관한 경미한 사고라 하더라도 임시사용승인 취소 등 강력한 행정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서울시(시장 박원순)는 제2롯데월드의 초고층 타워동 공사가 준공될 때까지 그룹 차원의 강력한 안전관리·대응 시스템을 자발적이고도 진정성 있게 구축할 것을 롯데 측에 5일 공식적으로 요구했다고 밝혔다. 


제2롯데월드의 개장 이후 잦은 안전사고 발생과 시민 불안감 확산 원인이 안전에 대한 사전 관리 미흡, 사고 발생 후 대응 시스템 미비에 있다고 판단한데 따른 것이다.  


서울시는 현재 롯데가 대폭 강화해야 할 안전관리·대응 시스템의 핵심은 ▲신속성 ▲투명성 ▲전문성 확보라고 밝혔다.


예컨대 현재 자체 인력에 중심의 안전관리를 넘어 외부의 구조·안전 인력 및 장비를 확충하거나 외부 기관과 협업한 안전관리 모니터링을 실시하는 등의 내용이다. 




시는 "사고 발생 시 즉각적인 보고체계를 운영하고 안전점검 조치를 이행하거나 시민 눈높이에 상응하는 언론브리핑을 실시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전했다. 


임시사용승인 이후 제2롯데월드에서는 수족관 누수, 영화관 진동, 공연장 공사인부 추락사, 캐주얼동 출입문 탈락사고, 지하주차장 바닥균열 등 크고 작은 안전사고와 사건들이 발생되고 있으나 롯데 측의 대응 미흡으로 언론의 비판과 불신, 시민 불안감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지하주차장 균열의 경우 구조적인 문제가 없는 사안임에도 롯데 측의 즉각적인 전문가 점검과 투명한 공개가 되지 못하고 서울시의 긴급 안전점검이 실시된 이후에나 기자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불필요한 시민불안을 가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시에서는 제2롯데월드 지하주차장 균열발생 부위에 대해 지난해 12월 31일부터 올해 1월 1일까지 전문가(8명)와 합동으로 긴급 현장점검을 실시한 결과, 균열은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온도수축 등에 의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며 건물전체 구조 안전상 문제가 없다는 전문가 의견이 나왔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롯데 측이 이러한 안전관리·대응 시스템 구축을 미 이행한 상태에서 안전사고가 재 발생될 시에는 전체 건물에 대한 사용제한·금지, 임시사용승인 취소 등 종전보다 더욱 강력한 제재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지은 기자 jieun_love@daum.net
ⓒ 2014 nsenior All rights reserved.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주)뉴온미디어 | 발행인/편집인 : 황리현 | 등록번호 : 서울 아 03154 등록일자 : 2014.05.14 서울본사 : 서울시 영등포구 양평동4가 280-8(선유로 274) 3층 TEL. 02-2671-0203 FAX. 02-2671-0244 ⓒ 2014 munhwatoday.com. All rights reserved. 이 사이트는 개인정보 수집을 하지 않습니다. 뉴시니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