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기고] 식품안전은 유통단계별 안전관리에서부터

김연화 소비자공익네트워크 회장

[문화투데이 김연화 칼럼니스트] 서울의 가로수에 핀 개나리, 벚꽃, 목련을 보며 봄이 왔음을 느낀다. 또한 기온이 상승하면서 다시 한 번 식품의 안전의식을 일깨워본다.

 

최근 소비 트랜드의 급격한 변화로 밖에서 식사를 해결하는 횟수가 많아지고, 1인 가족 체제, 고령화의 가속화 등에 따라 식사 패턴도 빠르게 변화하면서 즉석 또는 반조리용, HMR과 같은 간편식과 건강기능식품이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다.

 

식품의 안전성 문제도 더욱 크게 부각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학교급식의 초코케익에서 발생한 살모넬라 식중독 사고가 있었는데 과거와 달리 최근 소비자 문제는 미생물과 관련된 바이러스 사고가 일어나고 있다. 특히 단백질 식품은 미생물 온도, 습도와 밀접한 연관이 되어 사고 발생의 주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한다.

 

우리는 그동안 식품안전사고를 겪으면서 단순히 식품 분야에 국한된 문제가 아닌 국가적 안전과 안보 문제로 정치, 경제, 사회 모든 분야에서 위협이 되고, 국민의 신뢰가 붕괴될 수 있는 국가의 최우선 과제라는 것도 충분히 경험하였다.

 

이러한 안전관리를 위한 수단으로 법과 제도 정비 및 위생 행정체계의 강화, 안전관리 시스템인 HACCP, GMP, GAP와 개인 위생 등에 대해 정비, 지도 등에 정부도 노력을 많이 해왔다.

 

그러나 늘 우리의 주변에 노출된 식품안전의 불만요인이 상주하고 있다. 소비자들은 우선 마음 놓고 밖의 음식을 먹을 수 있는지 환경적 요인에 의구심을 갖는다. 최근의 소비자 니즈는 식품의 가격, 양 보다는 안전을 우선적으로 생각하고, 이러한 소비자 요구에 부응한 식품산업 트랜드도 안전과 건강, 편이성 등에 중점을 두고 발전해가고 있다.

 

이런 변화에 부응한 식품산업도 e-commerce, 새벽배송, 배달음식 등 유통체계의 급속한 발전을 가져왔지만 이과 함께 식품 안전과 관련된 사고도 우려도 함께 하고 있다는 점이다. 요즈음 식품에는 단백질 성분의 식품이 많아 작년과 같이 갑자기 이상기후 현상이 나타나면 온도, 습도 등에 예민한 미생물이 기하급수적으로 변해 대형 사고를 유발할 수도 있다는 점을 우리는 늘 깊이 인식해야 하며 안전관리에 철저해야 한다는 것이다.

 

식품위생법에 온도기준은 냉장제품의 경우 0~10℃, 냉동제품은 –18℃ 이하에서 보존, 유통되어야 하고, 식육 포장육 및 식육가공품의 경우도 냉장온도는 –2~10℃(단, 가금육의 포장육 제품은 –2~5℃)에서 관리되어야 한다고 정해져 있다. 

 

그러나 대형마트를 제외한 소비자의 구매빈도가 가장 높은 편의점 등에서의 온도관리는 실질적으로 이행이 잘 안 되고 있는 실정이다. 

 

2018년 소비자공익네트워크에서는 가금육의 전체 유통경로에서의 보관 및 유통환경에 대해 온도조사를 진행한 결과, 조사대상 포인트 총 631곳 중에서 126곳(20.0%)의 온도가 미달되었으며, 도계장 출하 이후 소비자에게 공급되기까지 일정한 냉장온도가 유지되어야 하나 중간 경로 중 이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소형마트의 냉장매대 냉장온도, 재래시장 진열판매대의 냉장온도와 전체 유통경로의 냉동매대 및 냉동보관온도 부분의 중점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을 볼 때 유통단계별 온도관리 부문에서 중점적인 현장 점검과 캠페인을 통해 사전 안전예방 조치를 취하고 정부, 산업계, 유통업계 모두가 함께 식품안전에 경각심을 갖고 지켜야 할 것이다.

 

안전사고는 방심하는 데에서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것이기에 늘 경각심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2015년 충암고등학교의 불량 급식사건의 경우도 우리나라의 낙후된 식품 유통체계와 더불어 안전의식에 대한 경계심 결여로 빚어진 문제로 본다. 식품의 교차오염 방지를 위해 생산 못지않게 더 중요한 것은 유통체계 관리이다. 

 

일부 유통업체에서는 스마트한 유통관리 시스템 개발을 통해 철저하게 관리하는 업체도 있으나 아직도 우리나라 25,000개의 식품 회사 중 96.7%정도가 영세업체로 식품산업 현실은 갈 길이 아직도 멀다.

 

그러나 생산에서 소비까지(farm to table)의 안전관리 가이드라인을 수시 점검하여 각각의 유통단계별 안전관리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는지를 체크하고, 소비자 구매 접점에서도 이력추적을 통해 사전안전 예방을 위한 현장 점검과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선진화된 식품 안전 면모를 갖추기 위해서는 식품이 최종 소비자에게 배달되는 시점, 소비자 구매시점에서의 온도 관리는 제대로 되는지에 대한 점검과 전국적인 캠페인을 통해 식자재 유통 관리를 위한 cold chain system의 정부와 업계의 사전안전관리 강화에 총력을 기울여 식품사고 예방을 통한 소비자 안전을 촉구한다.

 

식품안전은 사후관리보다 사전예방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러한 위해성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소통하고 공감을 통해 국민의 이해와 실천적인 지혜를 모으고 식품산업과 유통은 협동적 관계에서 소비자 안전을 최고의 가치로 인지하여 안전 유통체계 관리를 통해 소비자가 안심할 수 있는 사회로의 전환이 진정한 의미의 국민이 행복한 사회가 될 것이다.

 

 

문화투데이 김연화 회장 칼럼니스트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NEWS

더보기

배너

포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