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투데이 = 이하나기자]민족 대명절인 추석의 대표적인 음식 중 하나가 바로 '송편'이다. 지금이야 일년 중 추석때나 먹는 음식으로 알려져 있지만 우리 조상들은 일상적으로 즐겼다는 사실. 송편은 원래 소나무 송(松)과 떡 병(餠) 자를 써서 송병으로 불려야 맞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송편으로 불리게 됐고, 우리 조상들은 추석때 햅쌀로 빚은 송편을 가지고 차례를 지내고 조상의 묘를 찾아 성묘를 하곤 했다. 추석이면 자연스레 먹는송편이지만 얼마나 알고 먹을까? 송편 하나에도 우리 조상들의 숨은 지혜가 담겨 있다. 송편을 찔 때 사용하는 솔잎. 단순히 향긋한 솔잎 향을 배게해 맛깔스럽게 하려는 것이 아니다. 이 속에는 깊은 과학이 바탕하고 있다. 이에 푸드투데이는 한가위를 맞이해 지난 4일 구재숙.최수길.최영석 배우와 함께 충청북도 충주시 신니면 소재 농가를 찾았다. 이 곳에서 농민배우 정건범씨를 만날 수 있었는데 그가 직접 농사 지은 화성 남양 햅쌀로 정성스레 송편을 빚어 보고 송편의 유래와 의미도 다시 한번 짚어봤다.내용은 상, 하로 나눠 소개한다. "안녕하세요. 한가위를 맞이해 농민이 지은 햅쌀로 송편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우리 조상
[문화투데이 = 홍성욱기자] 문화투데이가 한복으로 민간외교를 펼치고 있는 김성은 한복외교문화원 원장과 전민경 아나운서를 만나서 한복에 대한 특징과 세계화에 대한 생각을 들어봤다. 전민경 아나운서(이하 전): 안녕하세요. 아나운서 전민경입니다. 오늘은 우리의 전통 복식인 한복에 대해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한복모델이신 김성은 선생님과 함께 합니다. 김성은 선생님은 우리나라 전통 한복을 세계에 알리는데 앞장서고 계십니다. 선생님 안녕하세요. 김성은 모델(이하 김): 안녕하세요. 김성은입니다. 전: 한복 외교에 앞장서며 민간외교관 역할을 하신다고 들었는데, 최근에는 뉴욕과 미얀마를 다녀오셨다고요? 김: 네, 지난 가을에 뉴욕 유엔본부와 카네기홀에서 전통한복인 청심적의를 입고 유엔합창단과 함께 ‘우리의 소원은 통일’을 부르며 한복 공연을 했고요, 미얀마에서도 현지인들에게 한복을 입히고 함께 무대에 섰습니다. 그리고, 8월에 몽골에서의 한복 공연이 있어서 준비하고 있습니다. 전: 한복으로 민간 외교를 펼치시고 계시네요. 우리의 멋, 단아한 한복을 보전 계승하는데 앞장서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요한가요? 김: 한복은 우리의 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