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노르웨이수산물위원회, 지속가능성 양식업 노력 알려

[뉴시니어 = 조성윤 기자] 노르웨이수산물위원회가 지난 17일 ‘한국 지속가능 양식수산물 세미나 2024’에 참가하며 지속가능한 생태계를 고려한 노르웨이 수산업의 노력을 전달했다.

 

수산양식관리협의회(ASC) 한국사무소가 주최하고 한국미래양식기술연구조합이 주관하는 ‘한국 지속가능 양식수산물 세미나 2024’는 작년에 이어 두 번째로 열렸으며 ASC 해외 관계자뿐만 아니라 국내·외 유명 양식수산물 생산 및 유통업체가 참석해 다양한 사례를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이번 세미나는 지역사회와 글로벌 양식환경 패러다임 재설정을 위해 ‘생태계 서비스 기반의 지속가능한 수산물로의 전환과 해외사례’를 주제로 진행되었는데, 이 중 노르웨이수산물위원회는 ‘노르웨이 연어의 성공과 미래 전망’이라는 주제로 노르웨이 수산물(연어)의 지속가능한 관리 및 미래에 대해 발표했다.

 

먼저 노르웨이수산물위원회는 한국을 전 세계 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시장 중 하나로 꼽았다. 특히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한국의 노르웨이 연어 총 수입량은 약 9,229톤을 달성하며 노르웨이 연어를 수입한 전 세계 국가 중 11위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또한 전 세계 양식 연어의 절반 이상을 생산하는 연어 양식 강국으로서 노르웨이 수산물 업계는 그 책임을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노르웨이수산물위원회는 지속가능성이 바로 노르웨이 수산물 업계 운영의 핵심 가치로 이전부터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으로 지속가능성을 위해 노력해 왔다고 강조하며, 노르웨이 국립해양연구소(IMR)가 진행하는 연간 위험 평가 및 지속적인 생산 현장 모니터링을 통해 양식업을 철저히 관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ASC 한국사무소 이수용 대표는 “미래에도 인류에게 중요한 식량원으로 자리매김할 해양 자원의 지속가능한 보존과 활용을 위해 수산양식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며 “보다 환경적이고 사회적으로 책임 있는 방식이 확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각 국가의 우수한 기술과 경험, 품질에 있어 상호 소통과 교류는 이러한 발전을 더 앞당길 수 있지 않을까 한다”고 전했다.

 

노르웨이수산물위원회 한국 매니저 미아 번하드센은 “노르웨이 연어 양식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산업으로, 현대 식품 생산 기술 발전의 선두에 서 있다. 이는 단순히 많은 연어를 생산하는 것뿐만 아니라 우리가 더욱 책임감 있고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연어를 생산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씨푸드프롬노르웨이' 인증 마크는 노르웨이의 차갑고 청정한 바다에서 온 노르웨이 수산물임을 보장하며, 이에 따라 지속가능한 관리의 표준에 따라 생산되었음을 의미한다. 노르웨이수산물위원회는 ‘씨푸드프롬노르웨이’ 마크를 통해 한국 소비자들이 이 마크를 보고 노르웨이 수산물임을 믿고 구매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NEWS

더보기

배너

포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