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서울시, 오스트리아 예술 장신구 교류전 개최

‘예술의 표현 수단’, ‘대안적 소통 매체’ 국내외 공예·미술계 집중

[뉴시니어 = 노태영 기자] 서울공예박물관(관장 김수정)은 28일부터 7월 28일까지 한국-오스트리아 현대장신구 교류전 장식 너머 발언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는 1892년 한국과 오스트리아가 수교를 맺은 이래 사상 처음으로 개최되는 대규모 예술 장신구 교류전으로 양국의 작가 총 111작가/팀의 대표작품 675점을 소개한다.

 

오스트리아 정부가 후원하고 서울공예박물관이 주최하는 이번 전시는 지난 2023년 7월 18일, 서울시(시장 오세훈)와 주한 오스트리아 대사관(대사 볼프강 앙거홀처)이 ‘상호 교류협력에 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이후 마련된 첫 행사다.

 

과거 권력의 상징이자 탐미의 대상으로 여겨지던 전통 장신구의 의미를 넘어 재료와 형식 실험을 통해 새로운 ‘시각언어’로 등장한 현대장신구에 주목하겠다는 전시의 취지를 담았다. 예술적 표현의 수단이자 대안적 소통의 매체로 자리 잡은 현대장신구의 가능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현대장신구(Contemporary Jewellery)란, 1·2차 세계대전을 거치며 형성된 공예 장르로 20세기 중반 이후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작가들의 활동이 본격화 되었다.

 

과거 부와 권력을 상징하거나 아름다움을 더하기 위한 장식품이었던 장신구가 독립적인 예술품으로 인식되면서부터 장신구에 과감한 재료와 형식을 더한 공예적 실험이 이어졌다. 작가들은 장신구를 예술적, 철학적,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예술 표현 매체로 삼고 다양한 시도를 이어갔다. 기계화 시대의 직선적 이미지와 간결한 형태 혹은 과장된 형식 도입을 통해 ‘착용’에 대한 개념적 실험을 선보이기도 했다.

 

장식 너머 발언의 준비를 위해 양국의 큐레이터는 지속적인 작품과 전시 연구, 긴밀한 소통을 이어왔다. 오스트리아 연방 문화예술공공서비스체육부와 오스트리아 국제문화사무국에서는 후원을 통해 이번 전시 비용을 공동 부담하였다.

 

이번 교류전시는 서울공예박물관의 황혜림, 이효선 큐레이터와 오스트리아 독립 큐레이터 수잔네 함머(Susanne Hammer), 우르술라 구트만(Ursula Guttmann)이 함께 약 1년여간 소통하며 기획했다. 오스트리아 여성작가 중심의 현대주얼리를 여성주의 시각으로 조명했던 기존의 전시를 보다 넓고, 새로운 시각으로 확대하여 기획하였다.

 

수잔네 함머와 우르술라 구트만은 2022년 그들의 마음 : 오스트리아의 주얼리 Mind of Their Own : Jewellery from Austria을 기획해 현대 주얼리의 본거지인 오스트리아와 독일에 선보인 바 있고, 서울공예박물관 의 두 큐레이터는 위 전시의 내용과 규모를 확장해 한-오 공통의 담론을 도출할 수 있는 공동 기획전시로 발전시켰다.

 

또한 30일에는 이번 전시에 참여한 한국과 오스트리아 현대장신구 작가가 함께하는 아티스트 토크 프로그램이 개최되고 매월 첫째 주 금요일 서울 문화 밤에는 이번 전시를 기획한 담당 학예사들의 전시 해설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동시대 현대장신구에 관한 생생한 이야기를 듣고 소통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김수정 서울공예박물관장은 “한국-오스트리아의 사상 첫 대규모 공예 교류전인 <장식 너머 발언>을 통해 국내외 관람객들이 현대장신구를 단순한 장식품을 넘어 예술품으로 새롭게 인식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더불어 이번 전시가 양국의 현대장신구 작가들의 활동 범위를 확장하고 한국과 오스트리아 양국의 문화예술교류를 활성화하는 데도 기여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NEWS

더보기

배너

포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