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시니어 = 노태영 기자]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 국립보건연구원(원장 박현영)은 지역사회코호트 10차 추적 5,511명분, 만성뇌혈관 128명분, 육종암 194명분 등을 포함한 약 1만 명분의 인체자원을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을 통해 28일자로 추가 개방한다고 밝혔다.
한국인 유전체 역학조사사업 데이터는 유전체분석으로, 고요산혈증 고위험군 조기 발견, 당뇨병과 당뇨 합병증 발생 위험도 차이 확인, 붉은 가공육 섭취에 따른 한국인 사망 위험 증가 연구 등에 활용됐고, 이번에 공개되는 인체자원은 국민 관심이 높은 노화 및 노인성 질환 발생 관련 연구, 대기오염 영양 연구 등에 활용된다.
지난해 만성뇌혈관 바이오뱅크 컨소시엄 사업을 통해 공개된 1,174명분의 인체자원은 알츠하이며, 치매 연구 등 13개 만성질환 연구 과제에 분양하여 활용되고 있으며, 이번에 128명분이 추가 공개됨으로써, 누적 1,252명분의 인체자원이 공개된다.
또한 육종암 바이오뱅크 컨소시엄 사업을 통해 확보한 인체자원은 지난해 199명분이 공개되었으며, 이번에 194명분이 추가 공개 됨으로써, 누적 393명분의 인체자원이 공개된다.
공개되는 인체 자원은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누리집에서 분양신청이 가능하며,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분양위원회 심의를 거쳐 연구자에게 제공될 예정이고, 자세한 분양신청 방법 및 구비서류는 분양 상담 콜센터(1661-9070) 또는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장은 “고품질의 인체자원을 지속적으로 확보하고 공개함으로써, 바이오헬스 연구와 산업 발전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며, “이번 인체자원 공개가 노화, 노인성 질환, 암 질환에 관한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