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커피 즐겨 마시면 통풍 위험 ↓...클로로젠산ㆍ카페인ㆍ항산화 성분이 요산 배출을 촉진

신한대 김지명 교수팀, 글로벌 연구 20여 편 종합 분석 결과

[뉴시니어 = 조성윤 기자] ‘제왕병’ㆍ‘부자병’으로 통하는 통풍 예방에 커피 섭취가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국내에서 나왔다. 커피 소비가 고요산혈증과 통풍 위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결과, 커피 섭취가 통풍 위험을 낮출 가능성이 있다는 결론을 내놨다.

 

신한대 식품영양학과 김지명 교수팀이 2024년까지 발표된 관련 국제 연구 가운데 신뢰도 높은 관찰연구(코호트ㆍ단면조사) 20여 편을 추려, 수십만 명 규모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커피ㆍ차 섭취와 고요산혈증ㆍ통풍: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분석, Effects of Coffee and Tea Consumption on Hyperuricemia and Gou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는 영양 분야 영문 학술지(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최근호에 실렸다.

 

 분석 결과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커피 섭취량이 많은 그룹에서 통풍 발생 위험이 낮아진다는 패턴이 여러 국가에서 일관되게 확인됐다는 점이다. 미국ㆍ일본ㆍ싱가포르의 대규모 코호트 연구에서도 커피 고섭취 그룹은 저섭취 그룹보다 통풍 발병률이 낮았다. 일부 연구에선 혈중 요산 농도도 커피를 많이 마실수록 낮아지는 경향이 관찰됐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커피 속 클로로젠산ㆍ카페인ㆍ항산화 성분이 요산 배출을 촉진하거나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함으로써 요산 대사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기존 가설을 재확인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인슐린 저항성은 고요산혈증의 중요한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커피의 대사 개선 효과가 통풍 예방과 연관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반면 차의 통풍 예방 효과는 일관되지 않았다. 녹차ㆍ홍차를 구분했을 때 일부 연구에선 요산 농도 감소 효과가 관찰됐지만, 다른 연구에선 오히려 요산 수치 증가와 연관되거나 눈에 띄는 차이가 없는 연구결과도 적지 않았다. 연구진은 차의 종류ㆍ카테킨ㆍ카페인ㆍ첨가물 등 변수가 많아 “커피만큼 명확한 결론을 내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이번 연구는 커피 섭취가 단순 기호식품을 넘어 대사질환ㆍ요산 질환 관리의 잠재적 보호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만 연구진은 “관찰연구의 한계상 인과관계를 단정하기 어렵고, 향후 무작위 임상시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결과가 고요산혈증ㆍ통풍 환자 상담에도 참고가 될 수 있다고 본다. 기존엔 ‘고요산혈증ㆍ통풍 환자에게 카페인 음료는 무조건 줄여야 한다’는 단순 조언이 많았지만, 이번 연구에선 커피가 오히려 통풍 위험을 낮출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진은 논문에서 “커피 섭취 자체보다 당류ㆍ알코올ㆍ고퓨린 식품과 함께 전체 식습관의 패턴을 봐야 한다”며, “앞으로 커피 섭취량ㆍ커피 종류(블랙 vs 가당)ㆍ동반 생활습관을 고려한 대사ㆍ요산 질환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한편 통풍은 혈액 속 요산(尿酸)이 과도하게 높아지면서 관절에 요산 결정이 침착해 생기는 대표적 염증성 관절질환이다. 흔히 ‘부자병’ㆍ‘문명병’이란 별칭으로 불리는데, 과거 기름진 음식ㆍ육류ㆍ술 섭취가 많은 상류층에서 주로 발생했기 때문이다. 발병 시 엄지발가락 관절이 새빨갛게 붓고 극심한 통증이 나타나 “뼈가 부서지는 듯한 통증”이란 표현이 사용될 정도다.

 

 고요산혈증은 혈액 속 요산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진 상태를 말한다. 요산이 과도하게 쌓이면 관절과 주변 조직에 결정이 침착해 염증을 일으키는데, 이때 발생하는 대표 질환이 통풍이다. 고요산혈증은 통풍의 전(前) 단계이자 가장 중요한 위험요인으로, 요산 수치가 오래 높을수록 통풍 발작 가능성도 커진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NEWS

더보기

배너

포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