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무늬만 제주 감귤, 99,6% 외국산

<국정감사>윤명희 의원, 전체감귤 면적 2만577ha 0.4% 불과




제주특별자치도(도지사 원희룡)가 제주 감귤을 세계적 명품산업으로 육성한다는 의지를 천명하고도 정작 재배되고 있는 감귤 품종의 99.6%가 외국산인 것으로 드러났다.


21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윤명희 의원이 제주특별자치도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제주감귤 품종 보급면적은 전체감귤 면적 2만577ha의 약 0.4%인 88ha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제주에는 1960년대부터 주로 일본품종인 흥진, 궁천, 일남일호, 부지화 등이 도입돼 생산되고 있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개발된 품종은 감귤시험장에서 19품종, 도농업기술원에서 2품종  총 21품종을 개발했지만 아직도 일본품종에 대한 선호도가 높고 새로운 품종으로 바꾸면 5년 정도는 수확(소득)이 없어 농가에서 쉽게 바꿀 수가 없어 보급률이 낮다.


또한 우리나라는 2002년 국제 식물 신품종 보호동맹(UPOV)에 가입했고 2012년에는 모든 작물이 품종보호대상작물로 지정됨에 따라 외국 또는 다른 사람이 개발한 품종을 이용하면 로열티를 지불해야 할 의무를 갖게 된다.


제주 감귤에 대한 로열티 지급 우려에 대해서는 다행히 아직까지 일본에서는 우리나라에 품종 보호 출원을 신청한 사례가 없어서 로열티를 지불 하지는 않았지만 앞으로 있을 가능성에 대비해 우수한 우리품종을 확대 보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과수 작물은 품종 개발 후 재배기간이 30년 이상이 됐거나 국립종자원에 품종보호등록이 안돼 있으면 로열티 지급 대상은 아니다.


윤명희 의원은“제주에서 감귤은 육지의 쌀과 같은 생명산업이라고 일컬어지고 있는 만큼 중요성이 큼에도 불구하고 정작 제주에서 재배되고 있는 감귤 품종 99.6%가 외국산이라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한 뒤 "앞으로 감귤나무 수령이 30 ~ 40년 정도 되면 갱신이 필요하므로 농가 품종갱신 시기에 맞춰 제주품종을 적극적으로 보급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제주 감귤은 지난 2009년 조수입이 6000억원 대에 진입한 이후 지속적 가격호조에 힘입어 2013년 9014억원, 2014년에는 1조원 달성을 목전에 두고 있다.

관련기사

35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NEWS

더보기

배너

포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