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에너지저장장치(ESS), 안성.용인에 준공

전기 수요와 공급 맞추는 주파수조정 본격 참여

에너지 신산업으로 불리는 에너지저장장치(ESS)가 경기도 안성과 용인에 준공돼 시범사업에 들어간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윤상직)는 한국전력과 함께 10일 에너지 저장장치를 주파수 조정(이하 FR: Frequency Regulation)에 본격 투입하는 '주파수조정용 에너지 저장장치 시범사업' 준공식(총 52MW 규모)을 안성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2017년까지 총 6,250억 원(한전 예산)을 투입해 500MW 규모로 에너지 저장장치를 설치, 전력의 수요와 공급을 일치시키는 주파수조정 서비스를 실시하기 위한 첫 과업이다. 
 

1차 사업 준공식에 이어 올 하반기에는 2차 사업으로 추가 200MW 규모의 주파수 조정용 에너지 저장장치를 구축할 계획이며, 이렇게 될 경우 주파수 조정용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의 설비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그동안 에너지 저장장치가 전력시장에서 적극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발전소’로서의 역할을 부여하는 한편, 기존 발전소가 담당해 온 주파수 조정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추진해 왔다.


아울러, 전기를 충전할 때 전기요금을 할인해 주는 충전특례 도입, 에너지 저장장치 연계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공급인증서(이하 REC)가중치 우대, 비상발전기로서의 지위 인정 등을 통해 시장 확대를 위한 정책적 지원을 실시해 왔다.


이번 사업은 전력 공기업인 한전을 중심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 등 국내 기업이 함께 참여해 에너지 저장장치의 가장 큰 시장인 전력시장을 대상으로 본격적인 경험과 실적을 쌓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문재도 산업부 차관은 축사를 통해 “산업혁명과 IT혁명의 뒤를 이어 앞으로 다가올 미래는 ‘에너지 혁명’의 시대가 될 것”으로 진단하고‘에너지 혁명’ 시대에서는 “대규모로 생산되어 한 방향으로 공급되는 에너지 보다 지역단위에서 생산되고 소비되는 에너지가 점차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라고 전망했다.


이어“안정적인 전기공급과 전기품질 유지를 위한 주파수 조정용 전력시장에서도 에너지 저장장치가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정부와 한전이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NEWS

더보기

배너

포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