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88올림픽 고속道, 광주-대구 고속도로로 확장

22일 함양산삼골휴게소 개통식

그간 사고 많은 도로로 불렸던 88올림픽 고속도로가 4차로인 광주-대구 고속도로로 확장 개통돼 기존 이미지를 탈피하고 동서화합과 지역발전의 견인차가 될 것으로 보인다.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 는 광주-대구 고속도로(舊 88올림픽선) 구간 중 유일하게 왕복 2차로로 남아있던 담양~성산 구간 143km를 22일 4차로로 확장 개통했다고 밝혔다.
  
개통식은 22일 함양산삼골 휴게소에서 개최돼, 강호인 국토교통부장관, 권영진 대구광역시장, 윤장현 광주광역시장, 이낙연 전라남도지사, 송하진 전라북도지사, 홍준표 경상남도지사, 김관용 경상북도지사 등 정·관계 인사와 지역주민 등 1200여 명이 참석해 광주-대구 고속도로 확장 개통을 축하했다.

광주-대구 고속도로는 지난 2002년부터 3년간 실시설계를 추진했고, 2008년 11월 확장공사에 착수했다. 본 고속도로는 담양군, 순창군, 남원시, 장수군, 함양군, 거창군, 합천군, 고령군 등 8개 시․군을 통과하는 도로이며, 총 2조 1349억원을 투입해 교통안전 수준을 높이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중점을 둔 대형 국책사업이다.



과거 88올림픽 고속도로는 우리나라에 유일하게 남아 있던 왕복 2차로 고속도로로서 도로의 선형이 불량하고 중앙분리대가 없어 교통사고가 고속도로 평균의 1.6배에 달했다. 이에 따라 사업계획부터 준공까지 교통안전에 특히 중점을 두고 사업을 시행했다. 

기존 88올림픽 고속도로에는 휴게소가 남원, 지리산, 거창 3개소 밖에 없었고, 휴게소 간격도 50km 넘어 사용이 불편했다. 이에 따라 확장사업 과정에서는 휴게소를 강천산, 함양산삼골에 2개소 추가 설치했고, 졸릴 때 쉬어갈 수 있는 졸음쉼터도 5개소를 건설해 휴게시설 간격을 25km 이내로 배치했다.

또한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지역특산물 단지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지역밀착형 휴게소와 테마공간도 조성한다. 강천산 휴게소와 고추장마을 사이에 연결로와 홍보시설을 설치하는 등 지역 특산물 판매 증진 방안을 지자체와 함께 마련해 추진했으며, 앞으로 함양군에는 산양삼 홍보 테마공간을 조성하는 방안을 지자체와 적극 협의해 나갈 계획이다. 

더불어 통행권을 뽑을 필요 없이 고속주행 중에도 차량 번호판을 인식해 자동으로 통행료를 결제하는 ‘스마트톨링’ 시스템을 2020년까지 도입할 계획이다. 또한 차량과 도로, 차량과 차량간에 사고정보, 돌발상황 등을 실시간으로 알리는 ‘차세대 지능형교통체계(C-ITS)'는 2018년까지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이후 광주-대구 고속도로에도 확대할 계획이다. 

강호인 장관은 “광주-대구 고속도로가 확장 개통되면 영남과 호남간의 접근성이 개선돼 더 넓고, 더 빠르고, 더 안전한 동서화합의 길이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8개 지자체를 통과하는 만큼 지역경제와 관광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고, 특히 영호남 지자체간의 협력사업과 교류사업도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NEWS

더보기

배너

포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