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윤상직)는 23일 8개 컨소시엄 주관사, 13개 지방자치단체, 유관기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되는‘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에 참여하는 주체들 간의 지속적인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에너지와 ICT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융복합 비즈니스 모델의 창출이 가능한 스마트그리드는 에너지신산업 4대 분야 (에너지 프로슈머, 저탄소 발전, 전기자동차, 친환경 공정)의 핵심 플랫폼으로서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에너지신산업은 올해 24대 핵심 국정개혁과제의 하나로, 특히 지난 파리 기후변화 협약 당사국 총회 기조연설을 통해 박근혜 대통령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수단으로서 에너지신산업 전략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정책을 소개하면서 우리 산업의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전국 13개 지역에 걸쳐 내년부터 본격 추진되는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은 그간 제주도를 비롯해 다양한 시범․실증사업을 통해 검증된 수익 창출이 가능한 사업모델을 실제 환경(주택가, 공단, 상업지구 등)에서 구현하고자 마련됐다.
업무협약 이후에는 산업부 문재도 제2차관 주재로 사업 추진에 걸림돌이 되는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다양한 의견수렴을 통해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시간을 나눴다.
문재도 차관은 개회사를 통해 “스마트그리드는 에너지프로슈머, 저탄소 발전, 전기자동차, 친환경 공정이라는 에너지신산업의 4대 분야를 모두 관통하는 연결고리”라며 “컨소시엄 주관사들은 스마트그리드가 우리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수 있도록 보다 과감한 투자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해 주기를 바라고, 지자체는 스마트그리드가 익숙하지 않은 지역 주민들과 기업의 가교가 돼 스마트그리드가 주민 생활 속에 정착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해 줄 것“을 당부했다.
아울러 정부도 소규모 전력 또는 남는 전력을 팔 수 있는 에너지프로슈머 시장 개설, 계절별․시간대별 차등 요금제 확대 적용 등 새로운 시장 창출을 이룰 수 있는 제도 개선을 통해 스마트그리드가 조기에 구축돼 에너지신산업을 일으키는데 총력을 다 할 것임을 전했다.
향후 내년 1월 중으로 컨소시엄별 세부사업 계획을 확정하고, 상반기에는 수용가와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사업 설명회와 주요 인프라 보급을 진행할 예정이다.